개념정리

KB 주택가격지수 (매매가격지수, 전세가격지수) 개념정리

최별 2022. 2. 2. 00:02

주택가격지수는 특정 매물이 아니라 특정 지역별로 가격의 흐름 파악하기 위해 활용하는 데이터로서, 각 시기별 국내외 경제상황 및 유동성, 주택 관련 정책 등과 연계하여 주택시장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데이터이다.

대표적인 주택가격지수로는 KB국민은행이 제공하는 주택가격지수와 한국부동산원이 제공하는 주택가격지수가 있다.

주택가격지수 통계별 조사방법 및 표본 비교

 

KB 주택가격지수와 한국부동산원 주택가격지수는 표본수와 지수산출방식(산술평균 vs. 기하평균)에 차이가 있으나 통계 의 흐름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 중론이다.

다만, 업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주택가격지수는 KB 주택가격지수이다.

 

✅ KB 주택가격지수 

KB 주택가격 통계는 민간통계로서 1986년부터 현재까지 장기 시계열을 제공하며, KB 주택가격지수는 전국의 주택 매매 및 전세가격을 조사하여 일정시점(2019년 1월 = 100)을 기준으로 전월 대비 가격변동률을 적용하여 지수를 산출한다.

가격 조사는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하고, 실거래 사례가 없을 경우 매매(임)사례비교법에 의해 조사된 가격을 이용한다. 1986년 당시 주택은행이 작성하기 시작하여 국민은행으로 합병된 후에도 지속되고 있으며, 국내 유일의 주택통계 장기시계열지수라 할 수 있다. 

※ 매매(임대)사례비교법 : 

다수의 거래사례를 수집하여 지역요인과 개별적 제요인을 고려하여 대상부동산과 가장 유사한 사례를 선택한 후 필요에 따라 시점수정 및 사정보정을 가하여 대상부동산의 가격을 구하는 방법

① 지역요인 : 위치의 유사성
② 개별적 제요인 : 물적 유사성
③ 사정보정 : 수집된 거래사례에 거래관계자의 특수한 사정 또는 개별적인 동기가 개재되는 등의 원인으로 그 가격이 적정하지 못한 경우에는 정상적인 가격수준으로 수정
④ 시점수정(시간의 유사성) : 매매사례 부동산의 거래시점과 대상부동산의 가격시점 사이에 시간적인 불일치가 있어서 가격수준의 변동이 있는 경우 거래사례의 가격을 가격시점의 가격으로 정상화

 

✅ KB 주택가격지수 보는 방법 및 유의사항

KB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2019.01=100)

✔️ 지수의 기준시점

2019년 1월 (2019년 1월 = 100.0)

✔️ 지수의 증감률

  • 전월비 : 전월과 비교한 금월의 가격수준 증감률
    = { (금월지수 - 전월지수) / 전월지수 } × 100 (%)
  • 전년동월비 : 전년동월과 비교한 금월의 가격수준 증감률
    = { (금월지수 - 전년동월지수) / 전년동월지수 } × 100 (%)

지수의 증감률은 퍼센트(%)로 나타내는데, 이는 두 지수차를 비교시점 지수로 나누어주기 때문에, 두 지수의 단순한 차이인 포인트(p)와는 다르다. 예컨대,

  • 두 지수의 단순 차이 : 120.0p - 113.7p = 6.3p
  • 두 지수의 증감률 : {(120.0 - 113.7)/113.7} x 100 = 5.54 %

✔️유의사항

  • 기준시점(2019년 1월)의 가격수준이 지역별로 다르기 때문에, 지역별 주택가격지수를 이용하여 지역별 가격 차이를 비교할 수는 없다.
  • 매매 및 전세가격지수 산출 시 지역별 주택재고수(량) 기준으로 가중치를 적용하며, 가중평균 방식을 사용하여 산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