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는 부동산의 빛이요 생명이니,
- by 모두의 부동산 -
부동산 입지의 핵심 중의 핵심 요소인 일자리 분석 방법에 대해 정리해본다.
✅ 부동산 지인, 빅데이터 지도
빅데이터 기반의 (반)무료 부동산 정보 사이트, <부동산지인(aptgin.com)>에 접속하여 상단 카테고리 중 3번째 '빅데이터지도' 클릭
빅데이터지도 분석도구에서 아래 캡쳐화면에 빨간색으로 강조해놓은 부분의 우측 화살표(>)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경제' 탭이 뜬다. 이걸 클릭하면,
전국 특광도/시군구별 소상공업과 법인사업체에 대한 통계자료(빅데이터)를 지도상에서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법인사업체 데이터이다. 소상공업보다는 법인사업체의 사업규모가 훨씬 큰 경우가 대부분이고, 따라서 더 많은 일자리 창출(=부동산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특정 지역에서 법인사업체의 (1) 평균소득 (2) 평균소득 증감 (3) 국민연금 가입자수 (4) 국민연금 가입자수 증감 (5) 사업장수 (6) 사업장수 증감을 사업장구성원수(5인 미만, 5~50인, 50~300인, 300~1000인, 1000인 이상, 전체) 별로 sorting이 가능하다.
여기서 핵심은 월별 사업장수, 그리고 특정 기간별 사업장수 증감 수치일 것이다.
(개인적으로 사업장구성원수 sorting을 특정 인수 이상(ex. 300인 이상)으로 설정할 수 없는 부분이 아쉽다.)
이 분석툴을 이용하면 전국의 지역별 법인사업체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이 가능하다. 이하, 예시.
1. 특정 月의 법인사업체 갯수
2. 특정 기간의 법인사업체 증감
특정 지역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상세정보와 과거이력을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법인사업체 증감의 절대적인 수치도 중요하겠지만, 증감한 법인사업체의 사업장구성원수가 얼마나 되는지를 살펴 해당 지역의 일자리 질을 가늠해 볼 필요도 있다고 생각된다.
'실전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자리 분석툴③ - SGIS+ 통계지리정보서비스 (0) | 2022.03.22 |
---|---|
일자리 분석툴② - KOSIS 국가통계로 일자리 분석하기 (0) | 2022.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