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가격동향/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2022년 2월 14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최별 2022. 2. 25. 18:02

한국부동산원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2022년 2월 14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 전국 : 매매보합(0.00%) / 전세하락(-0.01%)

✔️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 지난주 0.00% → 금주 0.00%

수도권(-0.02%-0.02%)은 하락폭 유지, 서울(-0.01%-0.02%) 락폭 확대, 지방(0.01%0.01%)은 상승폭 유지(5대광역(-0.01%-0.02%), 8개도(0.04%0.05%), 세종(-0.10%-0.13%))됐다.

시도별로는 경남(0.09%), 강원(0.08%), 전북(0.07%) 등은 상승, 부산(0.00%), 전남(0.00%)은 보합, 세종(-0.13%), 대구(-0.09%), 대전(-0.06%), 울산(-0.02%), 경기(-0.02%), 서울(-0.02%), 인천(-0.01%)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6567)은 증가, 보합 지역(2715)은 감소, 하락 지역(8494)은 증가

✔️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 지난주 0.00% → 금주 -0.01%

수도권(-0.02%-0.04%) 및 서울(-0.02%-0.03%)은 하락폭 확대, 지방(0.01%0.02%)은 상승폭 확대(5대광역시(-0.01%-0.01%), 8개도(0.04%0.06%), 세종(-0.25%-0.20%))됐다.

시도별로는 경남(0.09%), 광주(0.06%), 강원(0.06%), 충북(0.06%) 등은 상승, 세종(-0.20%), 대구(-0.09%), 인천(-0.06%), 대전(-0.05%), 경기(-0.04%), 서울(-0.03%), 울산(-0.01%)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7983)은 증가, 보합 지역(3124)은 감소, 하락 지역(6669)은 증가

 

✅ 수도권 : 매매하락(-0.02%) / 전세하락(-0.04%)

✔️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 : 지난주 -0.02% → 금주 -0.02%

[서울 : -0.01% -0.02%]

  • 대체로 매수세 위축되고 관망세 지속되는 가운데, 지난해 급등했거나 매물 적체된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조정 이어지며 서울 전체 4주 연속 하락(서울 25개구 중 22개구에서 하락)
  • (강북 14개구 : -0.01% → -0.03%)
    중랑구(+0.01%)는 일부 중저가 위주로 상승했으나, 서대문구(-0.08%)는 홍제동 위주로, 성북구(-0.05% → -0.08%) 길음뉴타운 대단지 위주로, 마포구(-0.04%)는 공덕ㆍ상수동 위주로 하락하며 강북지역 전체 하락폭 확대
  • (강남 11개구 : -0.01% → -0.01%)
    서초구(0.00% → 0.00%)는 상승ㆍ하락 혼조세 보이며 보합 유지됐으나, 송파구(-0.02% → -0.02%)()신축ㆍ재건축 모두 하락거래 발생하며, 강동구(-0.02% → -0.02%)는 둔촌ㆍ강일동 등 대단지 위주로, 강남구(0.00% → -0.01%)는 일부 대형은 상승했으나, 중소형 위주로 하락. 그 외 지역은 대체로 관망세 보이고 거래활동 위축된 가운데, 양천(-0.01%)강서(-0.01% → -0.01%)금천구(-0.01%) 등 중심으로 하락세 유지

[인천 : -0.02% -0.01%]

  • 서구(+0.01%)는 경서ㆍ불로동 일대 중저가 위주로 상승했으나, 동구(-0.05% → -0.04%)는 송현ㆍ송림동 위주로 매수심리 위축되며, 연수구(-0.03%)는 동춘ㆍ옥련동 구축 위주로, 부평구(-0.02% → -0.02%)는 삼산ㆍ청천동 위주로 하락하며 인천 전체 하락세 지속

[경기 : -0.02% -0.02%]

  • 이천시(+0.16% → +0.21%)는 안흥ㆍ증포동 (준)신축 및 부발읍 위주로 상승했으나, 안양 동안구(-0.08%)하남(-0.06%)시흥(-0.05%)부천시(-0.04% → -0.05%) 등 지역에서 매수심리 및 거래활동 위축되며 하락폭 확대됐고, 군포시(-0.05%)는 그간 상승폭 높았던 단지 위주로 하락하며 보합에서 하락 전환되는 등 경기 전체 하락세 지속

✔️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 : 지난주 -0.02% → 금주 -0.04%

[서울 : -0.02% -0.03%]

  • 전세대출금리 부담 및 대출규제 등으로 매물적체 현상 지속되는 가운데, 그간 가격 상승폭이 높았던 고가 단지 위주로 하락폭 커지며 서울 전체 하락폭 확대
  • (강북 14개구 : -0.02% → -0.02%)
    동대문구(+0.02%)는 용두동 등 교통 접근성 양호한 중저가 위주로 상승했으나, 서대문구(-0.10%) 홍제동 구축 위주로 매물 적체되며, 성북구(-0.05%)는 길음ㆍ종암동 위주로, 노원구(-0.04%)는 중계동 구축 위주로 하락
  • (강남 11개구 : -0.02% → -0.03%)
    강남구(-0.05%)는 가격 상승폭 높았던 고가 단지와 재건축 위주로, 송파구(-0.05%)는 잠실ㆍ장지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강동구(-0.01%)는 고덕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세 지속됐고, 서초구(-0.01%)는 잠원ㆍ반포동 고가 위주로 매물 누적되며 하락 전환. 양천구(-0.05%)는 목동신시가지 위주로, 강서구(-0.03%)는 등촌ㆍ화곡동 구축 위주로 하락

[인천 : -0.07% -0.06%]

  • 서구(-0.28%)중구(-0.06%)는 신규 입주물량 부담 있는 인근지역 위주로 매물 적체되며 하락폭 확대됐으나, 연수(0.00%)ㆍ동구(0.00%)는 일부 중저가 단지의 상승거래 영향 등으로 지난주 하락에서 보합 전환되며 인천 전체 상승폭 축소

[경기 : -0.01% -0.04%]

  • 이천시(+0.27%)는 직주접근성 양호한 부발읍 위주로 상승했으나, 화성시(-0.16%)는 매물적체 영향 등으로 장지ㆍ목동에서 매매가격과 동반하여 하락했으며, 의왕시(-0.15%)는 오전ㆍ내손동 구축 위주로, 고양시(-0.04%)일산동구(-0.04%)일산서구(-0.02%)에서 하락 전환되며 경기 전체 하락폭 확대
 

✅ 지방 : 매매상승(+0.01%) / 전세상승(+0.02%)

✔️ 지방 아파트 매매가격 : 지난주 +0.01% → 금주 +0.01%

[5대광역시 : -0.01% -0.02%]

  • (광주 : +0.06% → +0.05%)
    광산구(0.10%)는 흑석ㆍ신가동 위주로, 북구(0.06%)는 교통환경 개선 기대감 있는 주요 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매도ㆍ매수자간 희망가격 격차로 상승폭 소폭 축소
  • (대구 : -0.07% -0.09%)
    입주물량 등의 영향 계속되는 가운데, 달서구(-0.17%)는 대천ㆍ성당동 위주로, 동구(-0.11%)는 신암ㆍ효목동 위주로 하락하며 하락세 지속

[세종 : -0.10% -0.13%]

  • 신규 입주물량, 거래활동 위축 등의 영향으로 하락세 지속

[8개도 : +0.04% +0.05%]

  • (경남 : +0.06% → +0.09%)
    창원 마산합포구(0.22%)는 개발호재 영향 있는 신포동 위주로, 진주시(0.17%)는 가좌동 위주로 상승

✔️ 지방 아파트 전세가격 : 지난 주 +0.01% → 금주 +0.02%

[5대광역시 : -0.01% -0.01%]

  • (광주 : +0.06% → +0.06%)
    광산구(+0.11%)는 정주여건 양호한 운남ㆍ신가동 중저가 위주로, 북구(+0.06%)는 운암ㆍ일곡동 구축 위주로, 서구(+0.02%)는 화정ㆍ금호동 중소형 위주로 상승
  • (울산 : 0.00% -0.01%)
    울주군(+0.03%)은 교통환경 양호한 언양ㆍ범서읍 위주로 상승했으나, 북구(-0.07%)는 산하ㆍ천곡동 위주로 거래심리 위축되며, 동구(-0.03%)는 서부ㆍ화정동 위주로 하락하며 약 25개월 만에 울산 전체 하락 전환

[세종 : -0.25% -0.20%]

  • 전세 매물 누적 및 하락 거래 발생하며 하락세 지속

[8개도 : +0.04% +0.06%]

  • (경남 : +0.05% → +0.09%)
    창원 마산합포구(+0.20%)는 월포ㆍ교원동 중저가 위주로, 진주시(+0.15%)는 가좌ㆍ충무공동 위주로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