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 7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한국부동산원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2022년 2월 7일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 전국 : 매매보합(0.00%) / 전세보합(0.00%)
✔️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 지난 주 0.00% → 금주 0.00%
수도권(-0.02%→-0.02%) 및 서울(-0.01%→-0.01%)은 하락폭 유지, 지방(0.02%→0.01%)은 상승폭 축소(5대광역시(-0.01%→-0.01%), 8개도(0.04%→0.04%), 세종(-0.13%→-0.10%))됐다.
시도별로는 제주(0.08%), 광주(0.06%), 경남(0.06%), 강원(0.05%) 등은 상승, 세종(-0.10%), 대구(-0.07%), 울산(-0.02%), 인천(-0.02%), 경기(-0.02%), 전남(-0.01%), 대전(-0.01%), 서울(-0.01%)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 상승 지역(68→65개) 감소
- 보합 지역(19→27개) 증가
- 하락 지역(89→84개) 감소
✔️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 지난 주 0.00% → 금주 0.00%
수도권(-0.02%→-0.02%) 및 서울(-0.02%→-0.02%)은 하락폭 유지, 지방(0.02%→0.01%)은 상승폭 축소(5대광역시(0.00%→-0.01%), 8개도(0.05%→0.04%), 세종(-0.26%→-0.25%))됐다.
시도별로는 광주(0.06%), 제주(0.06%), 강원(0.05%) 등은 상승, 울산(0.00%), 전남(0.00%)은 보합, 세종(-0.25%), 대구(-0.08%), 인천(-0.07%), 대전(-0.03%), 서울(-0.02%), 경기(-0.01%)는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 상승 지역(75→79개)은 증가
- 보합 지역(38→31개)은 감소
- 하락 지역(63→66개)은 증가
✅ 수도권 : 매매하락(-0.02%) / 전세하락(-0.02%)
✔️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 : 지난 주 -0.02% → 금주 -0.02%
[수도권 : -0.02%] 서울 0.01% 하락, 인천 0.02% 하락, 경기 0.02% 하락
[서울 : -0.01% → -0.01%]
- 다양한 하방압력*으로 매수자 우위시장 지속되는 가운데, 호가 유지하던 일부 강남권 인기단지도 신고가 대비 낮은 금액으로 거래**되며 하락세 유지
* 추가 금리인상 우려, 전세가격 하락, 거래량 급감 및 매수자 관망세 지속 등
** 강남4구 ’20.6.1주 이후 약 1년 8개월 만에 하락 전환 - (강북 14개구 : -0.01%) 성북구(-0.03% → -0.05%)는 길음뉴타운 등 대단지위주로 매물 적체되며, 은평구(-0.04%)는 응암ㆍ수색동 위주로 하락폭 확대되며 강북 14개구 중 13개구에서 하락 내지 보합
- (강남 11개구 : -0.01%) 서초(0.00% → 0.00%)ㆍ강남구(0.00% → 0.00%)는 매수세 위축되며 보합세 유지됐고, 송파구(0.00% → -0.02%)는 그간 상승폭 높던 인기단지에서 하락거래 발생하며, 강동구(-0.02% → -0.02%)는 천호동 대단지 위주로 급매 거래되며, 강서구(-0.01% → -0.01%)는 방화ㆍ등촌동 위주로 하락하는 등 강남 지역 전체 하락 전환
[인천 : -0.04% → -0.02%]
동구(-0.08% → -0.05%)는 송현동 일대 구축 위주로 매물 적체되며, 중구(-0.07% → -0.05%)는 중산ㆍ운서동 일대 가격 상승폭 높았던 단지 위주로, 미추홀구(-0.07% → -0.04%)는 용현ㆍ주안ㆍ학익동 주요 단지 위주로, 부평구(-0.02%)는 부평ㆍ청천동 등 구축 위주로 하락
💬 미세하지만 하락폭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경기 : -0.03% → -0.02%]
- 이천시(0.16% → 0.16%)는 직주근접한 대월면ㆍ부발읍 위주로 상승했으나, 매물적체 등 영향으로 화성시(-0.09% → -0.11%)ㆍ성남 중원구(-0.09%)ㆍ용인 수지구(-0.04%)ㆍ부천시(-0.04%) 등 지역에서 하락폭 확대됐고, 고양 일산서구(-0.01%)는 가좌ㆍ덕이동 중심으로 하락 전환되는 등 경기 전체 하락세 지속
✔️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 : 지난 주 -0.02% → 금주 -0.02%
서울 0.02% 하락, 인천 0.07% 하락, 경기 0.01% 하락
[서울 : -0.02% → -0.02%]
- 설 연휴 영향으로 대체로 거래 한산한 가운데, 시중은행 대출금리* 상승과 갱신계약 영향 등으로 수요 감소하고 매물 적체되며 서울 전체 2주 연속 하락
* ’22.2.10일 기준 시중은행 전세자금 대출 금리 : 최대 5.09%, 금융감독원 - (강북 14개구 : -0.02%) 중랑(0.01%)ㆍ강북구(0.01% → 0.01%)는 중저가 위주로 소폭 상승했으나, 그 외 지역은 연휴로 인해 거래활동 감소한 가운데, 서대문구(-0.05%)는 북아현ㆍ홍제동 대단지 위주로, 성북구(-0.04% → -0.04%)는 석관동 구축 위주로 하락세 지속
- (강남 11개구 : -0.02%) 전반적으로 거래 한산한 가운데, 서초구(0.00%→ 0.00%)는 호가수준 유지되며 보합 유지됐으나, 송파구(-0.03% → -0.04%)는 잠실ㆍ거여동 위주로 급매 거래되며, 강남구(-0.01% → -0.03%)는 개포ㆍ역삼동 구축 위주로, 강동구(-0.01%)는 고덕ㆍ명일ㆍ천호동 등에서 매물 적체되며, 양천구(-0.03%)는 신정ㆍ신월동 구축 위주로 하락
[인천 : -0.04% → -0.07%]
- 미추홀구(0.04% → 0.00%)는 지역 및 단지별로 혼조세 보이며 보합 전환 됐으나, 서구(-0.17% → -0.19%)는 신규 입주물량 영향 있는 청라ㆍ가정ㆍ당하동 위주로, 연수구(-0.10% → -0.14%)는 가격 부담 있는 송도동 위주로 매물 누적되며, 동구(-0.04%)는 화수동 등 저가 단지 위주로 하락
[경기 : -0.02% → -0.01%]
- 이천시(0.21% → 0.21%)는 직주근접한 대월면ㆍ부발읍 위주로 상승했으나, 매물적체 및 금리 인상 부담 등으로 용인 수지구(-0.04%)는 풍덕천ㆍ동천동 중저가 위주로, 안산 상록구(-0.03%)는 본오ㆍ성포동 소형 위주로, 수원 장안구(-0.02%)는 파장동 구축 위주로 하락 전환되는 등 거래심리 위축되며 경기 전체 3주 연속 하락
✅ 지방 : 매매상승(+0.01%) / 전세상승(+0.01%)
✔️ 지방 아파트 매매가격 : 지난 주 +0.02% → 금주 +0.01%
5대광역시 0.01% 하락, 8개도 0.04% 상승, 세종 0.10% 하락
[5대광역시 : -0.01% → -0.01%]
- (광주 : +0.08% → +0.06%) 광산구(0.14% → 0.11%)는 정주여건 양호한 산월ㆍ운남동 위주로, 북구(0.08% → 0.07%)는 신용ㆍ동림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서구(0.00%)는 거래심리 위축되며 상승에서 보합 전환
- (대구 : -0.08% → -0.07%) 입주물량 등의 영향 있는 가운데 달서구(-0.15% → -0.10%)는 두류ㆍ유천동 위주로, 수성구(-0.08%)는 수성ㆍ황금동 구축 위주로 하락하며 하락세 지속
[세종 : -0.13% → -0.10%] 신규 입주물량 등의 영향으로 하락거래 발생하며 하락세 지속
💬 미세하지만 하락폭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8개도 : +0.04% → +0.04%]
- (전남 : 0.00% → -0.01%) 광양(-0.05%)ㆍ여수시(-0.05%)는 일부 구축 단지 위주로 하락하며 전남 지역 전체 하락 전환
✔️ 지방 아파트 전세가격 : 지난 주 +0.02% → 금주 +0.01%
5대광역시 0.01% 하락, 8개도 0.04% 상승, 세종 0.25% 하락
[5대광역시 : 0.00% → -0.01%]
- (광주 : +0.07% → +0.06%) 광산구(+0.17% → +0.14%)는 산업단지 인근의 월계ㆍ하남동 위주로, 남구(+0.06% → +0.06%)는 상대적 중저가 인식 있는 방림동 위주로, 서구(0.02%)는 정주여건 양호한 금호동 위주로 상승
- (대구 : -0.09% → -0.08%) 달서구(-0.24% → -0.17%)는 입주물량 영향 있는 감삼ㆍ두류동 위주로, 동구(-0.08% -0.12%)는 신암ㆍ효목동 위주로, 달성군(-0.04%)은 유가ㆍ현풍읍 위주로 매매가격과 동반하여 하락
[세종 : -0.26% → -0.25%]전세수요 감소 및 하락 거래 발생하며 하락세 지속
[8개도 : +0.05% → +0.04%]
- (제주 : +0.04% → +0.06%) 제주시(0.06%)는 삼도ㆍ용담동 구축 단지 위주로, 서귀포시(0.05%)는 서홍ㆍ동홍동 위주로 상승